북한 연평도 백령도 해상 포사격 200발 NLL 국방일대

2024. 1. 5. 20:01일상이야기

반응형

북한의 해안포 사격, 남한에서 대피령 발동

 

2024년 1월 5일, 북한은 서해 일대에서 해안포 사격 훈련을 실시했습니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북한군은 이날 오전 9시부터 11시까지 약 2시간 동안 200여 발의 포격을 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다행히도 우리 군과 국민들에게 발생한 피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YTN 백령도 연평도  포격

신속한 대응과 대피

북한의 포 사격에 따라 연평도 주민들은 낮 12시경 대피소로 대피하라는 안내를 받았습니다. 이는 예상치 못한 사태에 대비한 조치였습니다. 우리 군은 이에 맞대응하는 차원에서 해상 사격 훈련을 실시했습니다. 이는 한반도의 긴장 상태가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루어진 분명한 조치였습니다.

YTN  9/19 군사합의 파기 이후 북한 반응

역사적 맥락과 긴장 고조

합참 공보실장 이성준 씨는 백령도와 연평도 북방 NLL(북방한계선) 일대에서 이루어진 사격에 대해 브리핑을 했는데요.  이번 행동은 한반도 긴장을 고조시키고 평화를 위협하는 도발적인 움직임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특히 북한이 2023년 11월 23일 9·19 군사합의를 일방적으로 파기하겠다고 선언한 후의 상황에서 더욱 민감하게 다뤄지고 있습니다.

YTN 연평도 해안포사격

남북한의 긴장 상황

서해 완충구역 내에서 포병 사격을 재개했습니다. 이는 한반도 평화에 대한 직접적인 위협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남북 관계의 긴장이 더욱 심화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북한의 도발에 대한 우리 군의 대응

북한의 이러한 행위는 명백한 도발로, 우리 군은 한미 공조 하에 관련 동향을 추적 감시하고 있으며, 북한의 도발에 상응하는 조치를 시행할 것임을 밝혔습니다.

KBS 연평도 대피방송

 

연평 주민들의 대응

연평면사무소 관계자에 따르면, 대피 안내 방송은 낮 12시 2분과 12시 30분, 그리고 오후 1시에 30분 간격으로 실시되었습니다. 현재 대피 해제 시점은 아직 미정이라고 합니다. 이날 오후 3시 기준으로 백령면 269명, 대청면 36명, 연평면 495명의 주민들이 대피한 상태입니다.

 

북한의 해안포 사격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에 대한 심각한 위협입니다.

이와 같은 상황은 한반도에 긴장감을 더하고 있으며, 국제사회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sbs 북한 러시아 탄도미사일 제공

북한 탄도 미사일의 러시아 지원

미국 정부 당국자는 북한이 최근 러시아에 탄도 미사일 발사대와 수십 발의 탄도 미사일을 제공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한반도 안보에 대한 우려를 가중시키는 상황입니다. 러시아는 지난달 30일과 이달 2일, 북한으로부터 제공받은 탄도미사일을 우크라이나에 발사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북한이 실전에서 자국산 탄도미사일의 성능을 확인하고 결함을 보완하는 기회로 활용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는 한국에 대한 북한의 미사일 위협을 한층 더 증가시킬 수 있는 상황으로, 북한의 군사 기술 고도화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SBS 북한 러시아 무기거래

북한과 러시아의 무기 거래

북한은 러시아에 탄도 미사일과 포탄을 제공하는 대가로 전투기, 지대공 미사일, 장갑차 등의 군사 장비와 기술을 획득하길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북한의 군사 위성과 공군력의 고도화 가능성을 시사하며, 한반도 및 인도-태평양 지역의 안보에 대한 우려를 키우고 있습니다.

국제사회의 반응

영국 외무부는 북한이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러시아에 사용될 미사일을 전달하지 말 것을 촉구했습니다. 이는 유엔의 안보 공약을 크게 훼손하고 지역의 불안정을 초래할 위험이 있음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는 러시아의 국제적 고립과 절망적인 상황을 나타내는 신호로 해석된다고 하는데요

한국과 한반도 안보의 미래

이러한 상황은 한국의 대(對)우크라이나 군사 지원에 대한 국제사회의 기대와 압박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한반도의 안보는 더욱 복잡하고 민감한 국면에 접어들고 있으며, 우리나라 및 국제사회는 이에 대해 심각하게 대응해야 할 필요가 있어 어 보입니다.

 

북한의 미사일 제공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공격 활용은 국제사회의 긴밀한 협력과 대응을 요구하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발전은 한반도 안보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강력한 대응 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한반도의 안보와 관련된 국제 정세는 계속해서 변화할 것이며, 이에 대한 신중하고 효과적인 대응이 요구될 것 같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