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트렌드 코리아 키워드 예측해 보자

2022. 1. 5. 22:26일상이야기

반응형

2022년 트렌드 코리아 키워드를 

예측하려고 합니다.

 

다들 코로나가 이렇게 오래갈 줄 몰랐는데

올해는 어떤 변화가 있을지 알아 보려고 합니다.

 

2022년 10대 소비 트렌드 키워드

(2022 트렌드 코리아 내용 중에서)

YTN뉴스 나노사회 

나노 사회 ( Nano Society)

코로나19로 사람들이 못 만나니

점점 쪼개지고 나뉘는 사회

 

머니 러시 (Money Rush)

자산을 늘리는 코인, 부동산 ,주식

 

득템력 (Gotcha Power)

비슷한게 다가 아니다

 

러스틱 라이프 (Rustic Life)

시골의 삶을 동경한다

 

헬시플레저 (Healthy Pleasure)

헬스 + 플레저 = 건강

 

엑스틴 이즈 백 (X-teen is Back)

X세대 소비 경향이 커진다

YTN뉴스 X세대를 주목하라

 

바른생활 루틴 (Routinize Yourself)

자기관리가 루틴하게 철저히

 

실재감 테크(Extended Presence Technology)

현실과 가상이 혼합되는 시대가 온다

 

라이크 커머스 (Like Commerce)

SNS 좋아요~ 인플루어서의 좋아요가 중요!

 

내러티브 자본 (Narrative Money)

물건을 파는게 아니라 꿈을 파는 시대

 


작년 한해 구글 트렌드로 살펴 본 

2021 주요 트렌드는 어떤지 살펴 보면요

 

힘든 한해로 표현

전 세계는 "둠스크롤링(doomscrolling)"

 

불행을 뜻하는 둠 + 화면을 위에서 아래로 향하는 스크롤

 

암울한 뉴스만을 강박적으로 확인하는 행위

뜻한다고 합니다.

 

코로나 펜더믹 사태가 지속되면서

사람들은 암울한 뉴스만 확인했다고 합니다.

 


정신건강

 

전 세계 검색량에서

 

정신건강 정보를 찾아보는 사람들이

역대급으로 많았으며

 

코로나 사망과 외로움 ,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아픔

정신건가을 유지하는 방법과

치유하는 방법에 관심이 높았다고 합니다.

 


경제 / 돈

 

코로나 팬더믹으로 재정적인 불확실성이

고용 안정과 생계를 위협하면서

 

취업방법 보다 창업방법을 모색하며

많은 기회를 알아 봤다고 합니다.

 

돈벌기와 관련된 다른 주제는 NFT

MBC뉴스 NFT열풍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이란 뜻으로

 

이미지, 게임거래 등 콘텐츠에 고유한 표식을 부여한

거래가능자산을 뜻합니다.

 

사람들은 NFT , 디지털자산에 대해

많은 검색을 했다고 합니다.

 


한국 드라마

 

집에서 시간을 보내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몰아 보기!!

 

"빈지 와칭(Binge-watching)"

시간을 할애하는 사람이 많았습니다.

 

넷플릭스에서 나온 한국드라마

넷플릭스 오징어 게임

"오징어 게임"은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검색된  TV 프로그램 이였습니다.

 

2022년 트렌드와 2021년 구글 크렌드를 

같이 살펴 보았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