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꼬무 대한항공902편 격추의시대 1978 어느 생존자의 기억편

2024. 1. 12. 19:36일상이야기

반응형

대한항공 902편 격추 사건은 1978년 4월 20일에 발생한 냉전 시대의 중요한 사건 중 하나입니다.

 

프랑스 파리에서 이륙하여 알래스카주 앵커리지를 거쳐 서울 김포국제공항으로 향하던 대한항공 902편 보잉 707-330B 여객기는 항법 장치의 이상으로 인해 예정된 경로를 이탈, 소련 영공을 침범하게 되었습니다.

 

이 사고로 탑승객 109명 중 2명이 사망했으며, 나머지 승객과 승무원은 생존해 비상 착륙했습니다.

 

사고 당시,

대한항공 902편은 북극 근처를 비행 중이었습니다.

항공기는 자기 나침반과 실제 경로의 차이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해 급격히 우회전하며 소련 영공으로 진입했습니다.

꼬꼬무 격추의시대 1978 어느 생존자의 기억

 

소련 공군은 이 여객기를 미국 공군의 RC-135 정찰기로 오인하고 Su-15 전투기를 출격시켜 격추했습니다.

 

항공기는 두 발의 미사일 중 하나에 맞아 날개에 구멍이 나고 기내 압력이 급강하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장 김창규는 비행기를 통제하여 얼어붙은 코르피야르비 호수에 비상 착륙시켰습니다.

꼬꼬무 대한항공 902편 격추

 

이러한 기적적인 착륙은 김창규 기장의 용기와 숙련된 조종 기술 덕분이었습니다.

생존한 승객과 승무원은 소련 헬리콥터에 의해 구조되었습니다.

 

사건 발생 후, 한국과 소련 간의 외교적 관계 부재로 인해 미국이 중재자 역할을 하였습니다.

승객들은 핀란드 헬싱키를 통해 귀국했으며, 기장과 항법사는 소련에서 조사를 받은 뒤 귀국했습니다.

꼬꼬무 대한항공 격추

 

이 사건은 소련이 자국의 영공 보호를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나중에 발생한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의 원인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

 

대한항공 902편 격추 사건은 항공사고 역사뿐만 아니라 냉전 시대의 국제 정치사에 있어 중요한 사건입니다. 이는 국제 항공 안전 기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국제 항공 교통의 복잡성과 취약성을 드러내는 사례로 남아 있는데요

꼬꼬무 대한항공 여객기 소련 격추

 

찾아보니 그 이후에 이와 비슷한 사건으로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인데요

이것도 마찬가지로 소련에 의해 격침되었는데.. 전원 사망이라는 국제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고, 냉전 시대의 긴장을 더욱 고조시켰습니다.

SBS 대한항공 007편 격추

 

1983년 9월 1일에 발생한 이 비극은 대한항공 007편이 뉴욕에서 출발해 서울로 가는 항로에서 소련 영공을 침범한 뒤, 소련의 수호이 Su-15 전투기에 의해 격추되면서 발생했습니다.

 

이 사건에서는 246명의 승객과 23명의 승무원, 총 269명이 사망하는 큰 참사가 발생했습니다. 이 비행기에는 미국 하원 의원인 로런스 패튼 맥도널드도 탑승하고 있었습니다.

 

007편은 뉴욕 존 F. 케네디 국제공항에서 출발하여 앵커리지를 경유하던 중 항법 오류로 소련 영공에 진입했습니다.

당시 비행기는 항로를 이탈하여 오호츠크해와 사할린 섬 상공을 지나가는 동안 소련의 방공 시스템에 의해 감지되었습니다.

SBS 대한항공 007 격추사건 러시아

 

격추 당시, 비행기는 야간이라 기종 식별이 어려웠으며, 소련 전투기 조종사는 항공기를 미군의 정찰기로 오인했습니다.

 

소련 전투기 조종사는 007편에 경고사격을 시도했지만, 예광탄이 없어 대한항공 기의 승무원과 승객들은 이를 인지하지 못했습니다.

sbs 러시아 미사일 발사 대한항공 007 추락

 

결국 소련 전투기는 명령에 따라 대한항공 007편에 미사일을 발사하여 격추시켰습니다.

 

사고 후 소련은 사건을 은폐하려 했으나, 미국의 정보 공개와 국제사회의 압박으로 이를 인정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대한항공 902편 격추 사건과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은 냉전 시대의 국제 정치적 긴장 과 항공 안전의 중요성을 드러내는 중요한 사례인데요

SBS 뉴스 내로남불 러시아 국제정치는 야생

 

 항공 역사뿐만 아니라 국제 관계 역사에서도 중대한 사건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항공 안전 기준 강화와 국제 항공 교통의 복잡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고 합니다.

 

국제사회에서 당당하게 발언하기 위해서라도 나라는 부강해야 합니다

적반하장 내로남불 다시는 이런 일이 없기를 바라며 올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