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두기 실내마스크외 모든 방역해제 위드 코로나 방역지침

2022. 4. 1. 22:29일상이야기

반응형

4월 오미크론 확산세가

조금씩 감소가 보이면서

 

정부가 새 거리두기 방안을

발표 한다고 합니다.

 

내용을 살펴보면

사적모임은 10명까지로

식당등 영업시간은 자정까지로

완화하기로 했습니다.

TV조선 실내 마스크 코로나 방역지침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인수위는 영업시간 폐지에도 힘을 실었지만

 

아직까지 위중증 사망추이를 지켜보자는 입장으로

중앙사고수습본부에서는

 

현재는 위중증 환자가 1,300명 내외를 유지하고

중환자실 가동률도 65%안팎이라며

 

"2주간 위중증 환자가 급격하게 증가하지 않고

의료체계 여력도 현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면

거리두기 체계를 전폭적으로 완화하는 논의가 가능할 것"

이라고 밝혔는데요

TV조선 거리두기 코로나 방역수칙 실내 마스크

거리두기가 폐지가 되면 

757일만에 종료가 된다고 합니다.

 

다만 전문가들 사이에선

시기상조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2주내에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방역조치를 전면 해제해도 될 만큼

안정화 되기 어려울 수도 있다고 합니다.

 


최근확진자 수의 증가는

3월 넷째주부터 정점을 찍고 내려오는 모습인데요

 

기존 영업시간 제한 폐지방안을

4월에 진행 하는것 같습니다

YTN 코로나 새 거리두기 방역지침

보건소 선별진료소와 임시선별검사소에서

진행되어온 신속항원검사가

4/11일부터 전면 중단된다고 합니다

 

신속항원검사는 동네 병의원들로 확대 되고

있다는 점등을 고려한 방역당국의 결정이라 합니다

 

11일 이후부터는 호흡기전담클리닉이나

호흡기진료지정 의료기관을 방문하면

검사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취약계층들은 검사료나 키트가격이 부담될 수 있어서

지자체가 키트를 무료로 배포한다고 합니다

 


정부는 그동안 코로나 사망자 유족에 대한

장례비용 1000만원 지원을 중단하기로

결정하였다고 합니다.

 

코로나 확진자가 급증으로

1월에 '선 화장 후 장례' 지침을 폐기한 데 이어

이제 매장도 가능하도록 개정해

 

일상적인 장례절차를 따를 수 있게 되었으니

지원 할 필요가 떨어졌다고 합니다.

 

코로나19 장례를 치른

장례식장 방역비용 300만원은 그대로 지원한다고 합니다

 

장례절차가 오래 기다리는 등 절차가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는 상황 속에

 

지원 중단으로 유가족들 불만이

많을 것 같습니다.

 


해외에서는 대한민국이 

코로나19 펜데믹(세계적 전염병 대유행)이 아닌

엔데믹(풍토병) 수준으로 낮추는 세계 최고의 국가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 되었다고 합니다

sbs 한국 코로나19 엔데믹 최초 국가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은

"한국, 싱가포르 등 아시아 국가들은

코로나19와 함께 살아가는 법을 배우고 있다"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은 감염자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펜데믹 규제를 하나씩 내려 놓으며

코로나 19 펜데믹에서 풍토병으로 낮추는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분석했는데요

 

한국의 3월 코로나 19 감염자수는 

인구수를 감안했을 때 미국과 영국이

 

정점에 있을 때 보다 3배 많았지만

누적 치명률은 0.12%였다고 합니다

 

최근 사망자가 급격히 늘어난 점을 감안해도

미국 1.2%, 영국 0.79%. 일본 0.44% 보다

낮다고 합니다

jtbc 한국 코로나19 누적 치명률 최저

현재 미국, 영국, 덴마크, 아이슬란드 등의

국가들이 마스크 의무를 철회하는 등

코로나19를 엔데믹으로 취급하였다고 합니다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한국이 이 전환에

가장 앞서있다고도 보도했습니다.

 

아시아 국가들은 펜데믹 규제를 내려 놓으며

 

한국정부는 코로나19 감염병 등급을

1급 ->2급으로 하향하는 방안

 

일본은 오미크론 감염 둔화속에

코로나19 규제를 모두 해제했다고 합니다

 

이와 반대로 한국정부가 밀접 접촉을 추적하기 위해

전화 GPS 데이터 포함 디지털 감시도 사용했다고

인권침해 요소가 있다고도 밝혔습니다.

 

 

반응형